산재 휴직자 연말정산 지금 다들 연말정산한다고
바쁘던데 도대체 나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답하셨죠.
연말정산은 매년 해도 저는 늘 어렵더라구요.
매번 늘 물어보는 것 같아요. 그래도 물어서 찾아서 하는게
어딘가요 하면 되는거죠 ㅎㅎ
-산재로 휴직 중 연말정산
1월말까지는 연말정산을 한다고 합니다.
회사에서 따로 연말정산 이야기가 없다면,
올해 5월말에 종합소득세신고를 다시 하시면 됩니다.
세무서 민원실에 가셔서 상황을 말씀드리고,
부정확한 경우 수정신고 하시어 차감징수 또는 환급이
된다고 합니다.
연말정산
국세청에서 1년동안 산이세액표에 따라 거둬들인
근로소득세를 연말에 다시 따져보고, 실소득 보다 많은 세금을
냈을 경우 그만큼 돌려주고, 그 보다 적게 냈을 경우,
더 징수하게 되는 것 이라고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렇게 됩니다.
필요한 생활비의 일부를 최소 경비로 인정해주고, 공제해서
1년간의 근로소득에 대한 납부세액을 확정 하는 것 이지요.
소득공제
각종 항목의 공제로 소득을 낮춰 세금을 절세하는 것
세액공제
산출된 세금에서 각종 세액공제를 통해서 세금을 절세하는 것
총급여 - 연간 근로소득 (비과세 소득)
근로소득공제 - 총급여에 따라 자동공제
종합소득공제 - 인적공제 (본인,배우자,자녀,부모)
4대보험 전액공제
특별소득공제 (주택자금공제)
기타소득공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과세표준 -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 - 종합소득공제) 를 제하고 남은 금액
그리고 곱하기 세율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곱해 세금이 산출되기 때문에
최대한 공제를 많이 받아서 과세표준을 낮춰야 한다고 합니다.
기본적인 틀 연말정산의 기본을 한번 적어 봤구요.
위에 글처럼, 안타깝게 산재를 당하신 분들 이번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 하셨을건데,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아직 적으면서 너무 헷갈리네요.
그렇지만 꼼꼼히 알아놔야 손해안보고 득이 되는 것이겠죠.
홈텍스 접속으로 편리하게 연말정산 하시면 될것같아요.
'직업직장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급휴직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0) | 2021.01.22 |
---|---|
월세 세액공제 연말정산 월세공제 받기 (0) | 2021.01.21 |
책 출판하는법 자비 출판 (0) | 2021.01.20 |
공공데이터 (0) | 2021.01.16 |
새해 새로운 청년정책 (0) | 2021.01.16 |